검색 본문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VOD View

"서울 아파트값 '꼭짓점' 찍었다…2년 뒤 조정국면 올 것"

"무주택자라면 지금 당장 주택 매수에 나설 필요는 없습니다. 서울 부동산 시장은 분명히 버블입니다. 정부가 주택 공급을 대량으로 하게 되면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요."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연일 상승세를 보인 서울 아파트값이 "'꼭짓점'에 이르렀다"며 2년 뒤인 2023년부터 조정국면에 접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 교수는 지난 11일 뉴스1 TV와 가진 인터뷰에서 "서울의 역세권 개발이나 공공재개발‧재건축, 수도권 지역의 신도시들이 분양하는 시기가 2023년이 된다"며 “이쯤 되면 조정국면이 돌아오고 2025년 등록임대주택 8년짜리도 시장에 나오면 주택시장의 공급 물량이 과잉될 수 있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서울에만 32만3000가구를 공급하는 정부의 '2‧4 공급대책'과 관련해 "수급조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991년 1기 신도시를 분양했던 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을 다 합쳐도 29만2000가구"라며 "그보다 많은 양이 서울에 쏟아진다면 집값은 거의 폭락 상태로 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권 교수는 무주택 실수요자라면 내 집 마련 시기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현재 서울 아파트는 비정상적인 가격에 거래되는 등 '가격 거품(버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3기 신도시 지역의 신규주택을 노려볼 만 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전 세계 경제가 코로나로 어려워지고 있는데 유독 한국만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며 "소득 대비 주택가격을 비교하거나 국내총생산(GDP) 대비 집값 총액을 볼 때 버블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년 이상만 거주하면 우선 분양 조건이 있다"며 "출근에 문제가 없다면 자기가 원하는 3기 신도시 주변 지역에 가서 거주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권 교수는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신도시 땅 투기 논란이 불거지면서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과거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 추진 당시 1만명에 가까운 투기가 적발된 사례를 언급하면서 이번 3기 신도시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불법 사례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지역 주민의 반발이 행정소송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사업 차질은 불가피하다"며 "3기 신도시 면적이 줄어드는 것뿐만 아니라 신규택지 발표 일정도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LH #공급대책 #광명 #시흥 #신도시 #주택 #서울 #부동산 #버블 #공급 #아파트값 #집값 #조정국면 #역세권 #재개발 #재건축 #수도권

핫뉴스

많이 본 영상

공유하기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