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VOD View

北공병 추가파병 진짜 이유 따로 있다? 소름 돋는 푸틴의 계획 ㅣ 두진호 박사

북한군이 6000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 쿠르스크 재건사업에 투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점령지 재건에도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두진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유라시아연구센터장은 18일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쿠르스크 재건에서 끝나지 않고 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 등 러시아가 자국 영토로 선언한 지역 전역에 북한군이 투입될 수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러시아 파병으로 경제적 실익을 챙기고 있다. 연평균 2~3만 명에 가까운 병력 파병 대가로 최대 1조 원 수준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인력 부족과 재건 지연 문제를 북한군 공병부대를 통해 보완하고 있으며, 이들은 단순 건설 인력이 아니라 숙달된 전투병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두 센터장은 분석했다.

북한군 파병은 단기 임무가 아닌, 장기 순환 교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군사적 현대화, 무기 정비·성능개량, 군사위성 지원 등 북러 동맹 전반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을 뉴스1TV 영상으로 확인해보자.


#북한군_공병 #러시아 #파병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북한 #공병 #파병 #재건 #도하 #드니프르 #쿠르스크 #러시아 #전쟁 #점령지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특수작전 #군사 #경제 #급여 #1조원 #교전 #병력 #증원 #북러 #동맹 #전선 #도하작전 #군사위성 #정찰 #무기 #현대화

핫뉴스

많이 본 영상

공유하기

북한